목차
좁쌀냉이 False bittercress
꽃병에 연희공원에서 뜯어온 좁쌀냉이를 꽂아놓았다.
좁쌀냉이, 학명 Cardamine fallax (O.E.Schulz) Nakai,은 속씨식물문 목련강 풍접초목 십자화과 황새냉이속에 속하는 식물입니다. 국명으로는 좁쌀냉이라고도 불리며, 영문명은 False bittercress입니다.
배추과에 속하며, 학명학명은 Cardamine fallax (O.E.Schulz) Nakai이고, 이명학명은 Cardamine flexuosa With. f. microphylla O.E.Schulz입니다.
좁쌀냉이는 전국 각지에서 발견되며, 두해살이풀로 자랍니다. 식물의 분포는 건조한 곳에 흔히 자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줄기의 높이는 20cm에 이르며, 가지가 갈라지지만 길게 뻗지는 않습니다.
전체적으로 털이 많이 나타나며, 잎은 어긋나는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홀수깃모양겹잎으로 갈라지며, 열편에는 불규칙한 톱니가 있습니다. 꽃은 4월부터 5월에 피며, 흰색을 띠고 있습니다.
꽃은 가지 끝이나 원줄기 끝에서 낱꽃이 총상꽃차례로 달려 있습니다. 꽃받침조각과 꽃잎은 각각 4개씩 있으며, 6개의 수술 중 2개는 짧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열매는 장각과이며, 길이는 약 2cm입니다. 작은 종자가 많이 들어 있고, 2개로 잘 터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좁쌀냉이는 어린 순을 나물로 즐겨 먹는데 사용됩니다.
황새냉이와 비슷한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보다 곧추 자라고 털이 많으며, 황새냉이보다 흔하지 않다는 점에서 구별됩니다.
이렇게 좁쌀냉이는 다른 식물들과 구별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유사한 식물들과 혼동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기타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털게 손질법 찌는법 (0) | 2023.06.28 |
---|---|
5월 6월의 꽃 금계국 - 도로변을 점령한 코스모스를 닮은 노란꽃 (0) | 2023.05.30 |
스나쿠타카 제주 현지인이 소개하는 제주도 서귀포 맛집 네거리식당 숙성도 로즈마린 마루아라 (0) | 2021.12.17 |
아ZN 원조 한류 구상나무 크리스마스 트리의 기원 종류 (0) | 2021.10.23 |
02-2131-1900 에서 농협은행계좌압류 서울 송파 경찰서에서 확인 024490557이라고 SMS 문자가 왔다. 스팸? (0) | 2020.09.25 |